전체 글 59
워낭소리 이삼순 할머니 별세
영화 워낭소리의 주인공인 할아버지가 2013년에 돌아가시고 오늘 이삼순 할머님께서 별세하셨습니다. 향년 81세. 이할머님은 부군이자 워낭소리의 주인공인 최원균 할아버지께서 숨진 뒤 6년 만에 할아버지 뒤를 따라 영면했습니다. 이삼순 할머니는 봉화 한 시골 마을에서 농부 최원균 할아버지와 일생을 평범하게 지내오다 2009년 1월 다큐멘터리 워낭소리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상운면 하눌리를 배경으로 오랜 세월을 함께한 노인과 늙은 소의 외로운 삶을 조명한 이 다큐멘터리는 당시 296만명을 모으며 독립영화 최대 히트작으로 떠올랐었습니다. 영화에 함께 출연한 소는 최할아버지께서 별세하기 3일 전에 죽어 워낭소리 공원묘지에 이장됐고 생전 할아버지의 뜻에 따라 고인과 나란히 묻히게 되었습니다. 이삼순 할머니는..

2019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
안녕하세요. 2019년 공공기관 경영평과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경영실적 평가에서 대한석탄공사가 전체 128개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최하위 등급인 ‘아주 미흡’(E)을 받았고, 탁월(S) 등급을 받은 기관은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 대한석탄공사 등 17개 기관이 D등급 이하의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성적이 저조한 8개 기관장은 경고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 핵심 공공기관 모두 2018년도 경영평가에서 C등급 성적표를 받았으며, 과학·콘텐츠 부문 공공기관도 대부분 C등급 평가를 받았습니다. 반면에 보건·의료 분야 공공기관은 A~B등급을 받는 성과를 냈습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C등급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B등급으로 상향 조정됐지만 다시 ..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관광지 됐다? 인증샷 논란
체르노빌 원전사고란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의 폭발로 일어난 방사능 누출 사건인데요. 1986년 4월 26일 원자로의 시험 가동 과정에서의 안전절차 결여로 발생한 사고로, 50여 명이 목숨을 잃고 화재 진압과 복구에 동원되었던 20여만 명이 방사능에 피폭되었으며, 방사능 낙진이 전 유럽과 아시아 일대까지 영향을 미치는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이 위험한 지역에 최근 관광객이 급증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미국 HBO사의 드라마 ‘체르노빌(Chernobyl)’이 미국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되었기 때문인데요. 거대한 참사가 일어났던 체르노빌에서 일부 관광객들이 과한 인증 사진을 찍어 논란이 일고 있으며 작가인 크레이그 마진이 아래와 같이 트위터에서 우려를 표했습니다. 체르노빌은 당시 방사능이..

사망률 300%의 신묘한 수술을 기록한 남자
1830년대 로버트 리스톤(Rober Liston)이라는 의사는 한 번의 수술로 무려 3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는데요. 이 것은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이 당시에는 마취제가 발달하지 않아서 최대한 빨리 수술을 마쳐야 환자가 살 수 있었습니다. 이 당시 절단 수술을 받는 사람중 4명 중에 한명은 사망을 했는데 로버트 리스톤에게서 수술을 받은 사람은 10명 중에 한명만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이 의사가 무척 빠르게 수술했기 때문인데요. 무려 수술을 마치는 2분 30초 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믿기가 힘들 정도로 빠르네요. 당시 외과 수술은 일종의 공연으로써 돈을 내고 관람을 할 수가 있었다고 합니다. 문제가 된 이 수술은 다리 절단 수술을 맡게 되었습니다. 다리 절단은 칼 뿐만 아니라 톱토 사용하기..

화(분노)를 다스리는 방법
안녕하세요. 분노는 우리가 무언가를 바로잡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힘과 에너지를 주고, 우리가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에게, 분노는 통제 불능이 될 수 있고 관계, 일, 그리고 심지어 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장기간 해결되지 않은 분노는 고혈압, 우울증, 불안, 심장병 같은 건강 상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이나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건강한 방법으로 분노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노 문제는 보통 얼마나 자주 발생하나요? 정신건강재단의 조사에서 32%가 화를 다스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친한 친구나 가족이 있다고 답했고, 28%는 가끔 얼마나 화가 나는지 걱정한다고 답했습니다. 분노의 문제는 우리 가족, 직장, 사회..
